<< Click to Display Table of Contents >>

스토어 추가

1.XML 스토어를 추가하려면 데이터 창의 [XML]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나타나는 팝업 메뉴에서 [XML 데이터 스토어 추가] 메뉴를 클릭합니다.

2.XML 스토어 추가 다이얼로그의 각 옵션을 설정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추가한 데이터베이스 정보가 표시됩니다.

다이얼로그 옵션

XML 스토어 이름

사용자 데이터 스토어 이름을 설정합니다.

XML 주소 (파일 경로 또는 URL)

서버에서 운용 시 사용할 XML 파일 경로 또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경로를 설정합니다.

[패러미터] 버튼을 클릭하면 패러미터 마법사를 이용하여 XML 파일 경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경로] 버튼을 클릭하여 가져올 XML 파일을 선택합니다.

디자인시 사용할 임시 XML 파일 경로

디자인 시 사용할 XML 파일의 로컬 시스템의 파일 경로를 설정합니다. [패러미터] 버튼을 클릭하면 패러미터 마법사를 이용하여 디자인 시 사용할 임시 XML 파일 경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경로] 버튼을 클릭하여 가져올 XML 파일을 선택합니다.

디자인시 사용할 정의 파일 경로(DTD 또는 XSD)

디자인 시 사용할 DTD/XSD 파일의 로컬 시스템 파일 경로를 설정합니다.

[패러미터] 버튼을 클릭하면 패러미터 마법사를 이용하여 디자인 시 사용할 파일 경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경로] 버튼을 클릭하여 가져올 XML 파일을 선택합니다.

XML 파서(Java)

XML 파서를 설정합니다. 자바 서버에서만 동작합니다.

xerces: XML 파서를 xerces로 설정합니다.

dom4j: XML 파서를 dom4j로 설정합니다.

서버 로그 파일 이름

파싱 에러 발생 시 XML 파일을 데이터 파일로 저장할 때 저장할 파일 이름을 설정합니다.

에러 발생 시 로그 파일 저장 기능은 XML 주소가 http:// 또는 https://이고, 서버 log.properties의 XMLSTORE_LOG_FILE 옵션이 MANUAL 또는 AUTO인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앨리어스 옵션을 체크한 경우 서버 로그 파일 이름 옵션은 비활성화되며, 서버 로그 파일 이름은 "XML 스토어 추가 다이얼로그"에서 설정한 값이 아니라 datasource.properties의 alias.FILENAMETOLOG 옵션에서 설정한 값으로 적용됩니다.

실제 생성되는 로그 파일의 파일 이름은 서버 로그 파일 이름에 날짜, 시간, 일련번호를 조합하여 생성되고, 로그 파일의 경로는 서버 log.properties의 XMLSTORE_LOG_FILE.LOCATION 옵션에서 설정한 값으로 적용됩니다.

URL 인코드 설정

Server URL 인코딩 유무를 설정합니다. 데이터 요청 시 URL의 패러미터 부분에 한국어나 기타 다국어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포스트 타입 전송

URL 패러미터 전송 시 GET 방식을 이용할 것인지 POST 방식을 이용할 것인지 선택합니다. 옵션을 체크하면 POST 방식으로 전송됩니다.

앨리어스

해당 데이터 셋 설정 정보를 별도의 연결 정보 파일에서 가져올지 여부를 설정하며 앨리어스를 사용할 경우 오즈 서버의 datasource.properties 파일에 정의한 앨리어스 이름을 설정합니다.

앨리어스 정보: 파일 앨리어스 정보가 있는 데이터 셋 설정 정보 파일을 설정합니다.

네임스페이스 편집 다이얼로그

"디자인시 사용할 정의 파일 경로"에 설정한 DTD 파일에 정의된 Root Element가 없고, Root Element가 여러 개일 경우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Root Element 선택 다이얼로그가 표시됩니다.